이전 글에서는 NCP에서 Server 생성후 SSH 및 Public IP 연동을 통한 외부 접속 방법을 알아 보았다.
이번 글에서는 생성한 Server에 추가 스토리지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 보고자 한다.
서버 생성시 기본 저장 공간은 50G 혹은 100G 중에 선택할 수 있는데,
데이터가 방대한 웹서비스을 운영 하거나, 백업 파일을 보관 하기에는 터무니 없이 부족한 공간이다.
다행히도, NCP에서는 추가 스토리지를 운영중인 서버에 연결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. (유료 서비스)
필요한 만큼의 용량을 선택하여 서버에 연결할 수 있고, 추후 용량이 부족하다면 간편하게 스토리지 공간을 늘릴 수도 있다.
먼저, 스토리지를 신청하자.
콘솔에서 'Server > Storage' 로 이동한다.
화면 상단 [스토리지 생성] 버튼을 클릭하여 스토리지 생성창을 연다.'
스토리지 종류와 연결한 서버, 원하는 용량을 선택한다.
(불행하게도, 지난 글에서 다루었던 1년간 기본 제공되는 Micro Server 에서는 추가 스토리지 연결이 불가하다)
원하는 설정을 모두 마쳤다면 [추가]버튼을 클릭하여 스토리지 생성을 완료하자.
NCP가 열심히 스토리지를 생성중이다.
1분 정도 기다리면 생성이 완료된다.
Server 리스트로 이동하여 해당 서버 상세창을 열면 화면과 같이 스토리지가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생성된 스토리지가 서버에 연결 되었다면, SSH로 접속해 스토리지를 mount 하여 활성화 시켜야 한다.
현재는 서버에 스토리지가 연결만 된 것일 뿐, 파일을 쓸 수 있는 상태는 아니다.
(CentOS 7.8을 기준으로 설명한다.)
#fdisk -l
현재 서버에 연결된 스토리지를 확인한다.
화면에서 /dev/xvdc 로 잘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#fdisk /dev/xvdc
위 명령어로 파티션 설정을 시작한다.
위 화면을 참고하여 파티션 설정을 완료한다.
fdisk 로 파티션이 /dev/xvdc1 로 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파티션 설정이 완료 되었다면, 생성된 파티션에 대한 포맷을 시작한다.
#mkfs.xfs /dev/xvdc1
포맷까지 모두 완료 하였다면, 스토리지에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특정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스토리지를 마운트 해야 한다.
#mkdir testdir
mkdir 명령어로 마운트될 디렉토리를 생성한다.
#mount /dev/xvdc1 /testdir
마운트를 위해 생성한 디렉토리에 스토리지를 마운트한다.
#df -k
df 명령어로 마운트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한다.
다음 글에서는 보안을 위해 Server 생성시 발급 받은 key 파일을 통해서만 SSH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
리눅스 셋팅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.
[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] Server에 추가 스토리지(Storage) 연결하기 (0) | 2021.08.15 |
---|---|
[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] Server 생성 후 SSH접속 및 Public IP 연결하여 외부 접속 방법 (0) | 2021.08.14 |
[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] Compute Server 로 리눅스 웹서버 구축하기 (0) | 2021.08.12 |
[linux] CentOS 7.8에 무료SSL 인증서 Let's encrypt 발급 및 설치 (2) | 2021.08.10 |
[티스토리] 2차 도메인 연결한 경우 구독하기 버튼 작동되도록 개선하기 (2) | 2021.08.10 |
[PHP&Linux] PHP exec() 함수로 아파치 restart 하기 (0) | 2021.08.09 |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