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@]2019.10.12|몽골 울란바토르[/@]
[!]안녕, 울란바토르 (19.10.12)[/!]
테를지에서의 고된 투어를 마치고 울란바토르로 돌아온 동생과 나는
몽골의서의 마지막 하루를 울란바토르 시내 투어로 마무리 하기로 한다.
첫 날 밤비행기로 도착하여 제대로 둘러보지 못했던 울란바토르 시내 곳곳을 누비며
눈꼽만큼 남아있는 에너지를 남김없이 이 곳에 쏟아 부을 작정이다.
![]()
![]()
마침 우리가 도착한 이 날은, 행사가 진행중이었는데,
비유하자면 서울의 시청 앞 토속축제 같았다.
어린 아이들이 전통의상을 곱게 차려 입고 광장 앞에 모여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가 하면,
한켠에선 유목민이 가내수공업으로 만든 각종 지역 특산품도 판매하고 있다.
![]()
![]()
![]()
![]()
한껏 들뜬 사람들의 모습을 가까이서 지켜보고 있자니, 그들의 삶에 나도 함께 동화된 것 같은 기분이다.
[!]서울의 거리[/!]
몽골 여행중 가장 신기했던 것은 몽골은 유독 한국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나라라는 점이다.
울란바토르 곳곳을 다녀보면 한국의 24시편의점, 카페, 음식점, 화장품가게 등 한국의 것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모습을 흔하게 발견할 수 있는데,
몽골 사람들은 한국의 문화, 경제등 많은 부분에서 모델로써 한국을 동경하고 있다.
13세기 칭기스칸의 말발굽에 짓밟혀 유라시아의 온 국가가 통치권을 빼앗겼지만 유일하게 통지권을 보장해준 나라가
고려였으니, 몽골이 한국을 대하는 모습을 의아해 하는 것 자체가 이상한 것 같기도.
![]()
울란바토르 한복판에 있는 서울의 거리.
1km정도 되는 거리를 서울의 분위기로 꾸며놓았는데,
멀고 먼 타지 몽골의 수도
울란바토르 시내 한복판에서 한국의 문화를 접할 수 있다는 것이 정말 신기하기만 하다.
[!]몽골에서의 마지막 저녁식사[/!]
몽골 여행중 우리에게 가장 곤욕스러웠던 것은 음식.
몽골 사람들은 고기 본연의 맛을 즐기는 편이라 소고기, 양고기 할 것 없이 모든 고기에서 특유의 잡내가 심하게 나는데
심지어 패스트푸드 핫도그에 들어간 소시지에서도 잡내가 난다.
제대로 된 배부를 식사를 하지 못한 탓에 마지막 저녁 식사는 이탈리안 맛집을 찾아가 보기로 한다.
![]()
![]()
여행 중 첨으로 만족스런 식사를 하고 있는데 바깥 해는 점점 저물어 간다.
막내동생과의 여행도 점점 저물어 가고 있다.
막내동생과 처음으로 해보는 해외여행.
지금까지의 해외여행 중 가장 의미있고 보람된 여행이지 않을까 싶다.
지금은 군대에서 잘 지내고 있는지 궁금하네?
![]()